go_bunzee

AI 스토리텔링 엔진: 게임 내러티브의 미래를 열다 | 매거진에 참여하세요

questTypeString.01quest1SubTypeString.02
publish_date : 25.05.30

AI 스토리텔링 엔진: 게임 내러티브의 미래를 열다

#게임스토리 #스토리텔링 #엔진 #서사 #개인화 #맞춤 #AI던전 #인월드 #콘바이

content_guide

게임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몰입감 있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하는 매체로 발전해왔습니다.

초기의 선형적인 스토리에서 벗어나,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변화하는 분기형 내러티브가 등장하며 게임의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AI 스토리텔링 엔진은 게임 내러티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AI 스토리텔링 엔진이란?

AI 스토리텔링 엔진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게임 내에서 실시간으로 스토리를 생성하거나 조정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플레이어의 선택, 행동, 게임 내 상황 등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스토리 전개를 자동으로 구성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AI Dungeon은 GPT 기반의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플레이어의 입력에 따라 무한한 스토리를 생성하는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입니다 .

주요 AI 스토리텔링 엔진 사례

Inworld AI: 살아있는 캐릭터를 만드는 엔진

https://inworld.ai/

Inworld AI는 "감정과 기억, 개성 있는 캐릭터"를 만드는 데 초점을 둔 AI 스토리텔링 엔진입니다.

이 기술은 단순한 대화 생성기를 넘어서, 캐릭터 중심의 세계관 구성을 가능케 합니다.

  • - 성격 프로파일링 (Personality modeling):

  • 개발자는 캐릭터의 성격, 말투, 세계관 내 역할 등을 텍스트로 입력합니다. 예: "이 캐릭터는 무뚝뚝하지만 충성심이 강한 중년 검사다."

  • - 기억 시스템 (Memory system):

  • 캐릭터는 플레이어와의 대화를 기억합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과거에 무례하게 굴었다면 이후 냉담하게 반응합니다.

  • - 목표 기반 행동 시스템 (Goal-directed behavior):

  • 캐릭터는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그 목표를 달성하려는 시도를 합니다. 예: "왕을 설득해 전쟁을 피하게 하라."

특징:

  • - 실시간 음성 및 텍스트 대화 지원

  • - Unity 및 Unreal Engine 연동

  • - 캐릭터 간 상호작용 가능 (AI-to-AI interaction)

Convai: 게임 개발자 친화형 인터랙션 엔진

https://www.convai.com/

Convai는 음성과 텍스트를 기반으로 NPC와 실시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API 중심의 엔진입니다.

특히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간편한 통합 기능과 튜닝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 LLM 기반 대화 엔진:

  • GPT-4, Claude, Mistral 등 다양한 LLM을 선택해 캐릭터에게 "두뇌"를 장착

  • - 지속적 대화 흐름 유지:

  • 문맥 유지 기능을 통해, 플레이어의 과거 발언을 반영한 대화 흐름 생성

  • - 3D 아바타 연동:

  • NPC의 표정, 입모양, 제스처까지 AI가 자동 제어

특징:

  • - Low-latency response: 지연 없이 실시간으로 대화가 오가는 구조 (1초 이내)

  • - 개발툴 연동: Unity, Unreal, WebGL 등 다양한 게임 엔진에서 손쉽게 구현

  • - 개발자 UI: 시나리오 스크립트 없이도 캐릭터 생성 가능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차세대 게임 디자인의 핵심: AI 엔진의 융합

이러한 엔진들은 단일 기능을 넘어서 점차 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world의 캐릭터 설정을 Scenario의 시각적 이미지와 연동해 ‘감정을 표현하는 NPC’로 구현하거나,

Convai의 대화 구조와 Scenario의 장면 흐름을 통합해 실시간 컷신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이처럼 "스토리의 구조(Structure) + 캐릭터의 성격(Personality) + 장면의 비주얼(Scene)"을 AI가 통합적으로 구성하게 되면,

과거에는 상상만 하던 '살아있는 이야기 세계'가 구현됩니다.

AI 스토리텔링 엔진의 실제 게임 개발 적용법

AI 스토리텔링 엔진을 실제로 게임 개발에 도입하려면 단순히 기술을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게임 세계관 설계, 캐릭터 구조, 유저 흐름까지 AI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래는 단계별 적용 방법입니다.

1) 캐릭터 중심 게임 설계

Inworld, Convai 같은 엔진은 캐릭터에 AI를 불어넣는 도구입니다.

개발자는 캐릭터를 설계할 때 다음 요소를 설정합니다:

  • - 성격: 낙천적인 모험가? 냉소적인 상인?

  • - 세계관: 어느 시대? 어떤 사회적 맥락?

  • - 관계: 누구를 좋아하고, 누구를 증오하는가?

  • - 행동 트리거: 어떤 말을 들으면 분노하거나, 기뻐하는가?

  • - 이러한 요소들을 AI 모델에게 "프롬프트 기반"으로 주입하면, NPC는 단순한 대화 상대가 아니라 감정과 목적을 지닌 주체로 등장하게 됩니다.

2) 스토리의 개인 맞춤

전통적 게임은 ‘시나리오 작성 → 대사 스크립트 → 분기 조건 설정’의 과정을 거쳤지만, AI 기반 엔진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동화합니다:

  • - 플레이어 행동 → 로그 저장

  • - 로그 해석 → 의도 추론

  • - 의도에 따라 다음 대사/미션/정보를 생성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특정 아이템을 무시했다면, Convai가 그 행동을 ‘아이템에 관심 없음’으로 해석하고, 해당 퀘스트 분기를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비선형적 플레이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

AI 스토리텔링의 한계와 극복 전략

AI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지만, 기술적·윤리적 한계도 존재합니다.

1) 스토리 일관성 문제

  • 문제점: AI는 때로 장기적 맥락을 유지하지 못해 "기억 오류"나 "말 바꾸기"가 발생합니다.

  • 해결책: 지속적 메모리 구조(예: Inworld의 persistent memory API)를 통해 캐릭터가 과거 경험을 저장하고 참조하게 합니다.

2) 비속어나 편향된 콘텐츠

  • 문제점: GPT 계열 LLM은 비속어, 혐오 표현, 문화 편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Prompt filtering, user safety guardrails, AI content moderation 툴을 병행 도입해야 합니다.

3) 예측불가한 응답

  • 문제점: 대화 도중 스토리와 무관한 대답을 하거나, 세계관에 어긋나는 정보를 줄 수 있음.

  • 해결책: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기법을 통해 게임 세계관 문서를 AI가 참고하도록 설정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스토리를 플레이”하는 시대에 진입했다

AI 스토리텔링 엔진은 게임의 서사적 가능성을 무한히 확장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결정된 이야기’를 ‘따라가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내가 만든 이야기’를 ‘플레이’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Inworld가 만든 NPC, Convai가 생성한 대화가 시각화한 장면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우리는 그 속에서 스토리의 소비자에서 창작자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AI 스토리텔링 엔진의 시작에 불과합니다.
앞으로의 5년, 이 기술은 게임은 물론 인터랙티브 영화, 교육 콘텐츠, 심지어 메타버스 세계 전체를 새롭게 만들 것입니다.

You can find ai story based game easily at BUNZEE.AI